뉴질랜드는 5대의 Kaman SH-2G Super Seasprite를 대체하기 위해 지난 2012년 발주한 SH-2G(i) 8대중 3대를 금년말 중 인수할 예정이다. 이 헬기는 호주가 도입할 예정이던 SH-2G(A)의 발전형 헬기로 지난 4월말 첫비행을 실시했다.
그리고 염분에 의한 부식과 진동으로 기체 정비 소요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는 기존의 SH-2G를 2015년 중순 SH-2G(I) 도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CH-148 Cyclone 대잠헬기를 개수하면서 기술을 습득한 General Dynamics Canada사에 인도하여 임무시스템 통합과 개수를 거쳐 이중 4대를 2016년경 페루 해군에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 10월 9일 도입 계약을 체결한 페루해군 인도분은 향상된 정찰 및 수색구조 능력을 갖추게 된다.
2001년부터 뉴질랜드에서 운용을 시작한 SH-2G를 도입할 페루해군은 현재 30년가까이 운용하며 낡은 Sikorsky SH-3D 2대와 AB 212ASW 2대를 보유한 대잠헬기 전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로써 전세계적으로 뉴질랜드와 폴란드만이 운용하는 SH-2G 헬기를 페루도 운용하면서 3개국에서 끈질기게 생명을 유지하게 된다. 한때 한국해군도 도입이 확정적이라는 헛소리를 퍼뜨린 XXX도 있었다.

SH-2G는 미 해군의 3대 대잠헬기중 하나로서 "kaman사"의 SH-2시리즈 중 최신개량형이며, 미사일 구축함에 탑재하여 대잠, 해양 정찰/구조, 기뢰탐색, 공중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다목적 중형해상전투헬기"로 수출명은 Super Seasprite이다.
SH-2G 대잠헬기는 1962년 미해군 항공대 수송용 헬기로 채택된 UH-2A를 개량한 SH-2D형으로 출발하여 최초 실전배치형인 SH-2F가 1973년 미 해군에 도입된후 보다 발전형으로 개발된 SH-2G는 1993년 미해군에 전력화 됐다.
1992년부터 배치된 미해군에서는 전부 퇴역하였고 Perry급 프리깃함을 공여받은 이집트 10대(1995년),호주 11대(2001년), 폴란드4대(2000년)등이 운용중이며 뉴질랜드는 5대(2000년)를 Anzac급 프리깃함용으로 도입했다. 그런데 호주해군은 SH-2G(A)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성능미달과 운용비용과다로 2008년 전부 퇴역시켜 Kaman사에 재판매했다.

SH-2G는 대잠임무(ASW : Anti - Submarine Warfre)와 대함임무(ASuW : Anti-Surface Warfare), 모함의 진로전방에 대한 공중기뢰탐지(AMCM : Airborne Mine Countermeasures), 정찰, 수색 및 구조를 위한 탐색/구조임무(SAR : Search and Rescue), 병력투입, 비밀작전 등의 임무수행에 적합한 최신의 추진장치, 무기, 센서 등을 갖추어 다용도/수송임무(Utility / Troop Transport)를 수행할 수 있다.
뉴질랜드는 호주와 같은 시기에 5대의 SH-2G를 구입하는데 항전장비는 다른 시스템을 장비했다. 전부 새로 제작된 기체로 GST를 포함하여 338백만달러의 예산을 준비했지만 더 낮은 12백만 뉴질랜드달러에 도입할 수 있었다.2001년 중반에 첫기체가 인도되며 2003년 2월 마지막 기체를 인수했다,.
이 헬기들은 2척의 Anzac급 프리깃과 2척의 Offshore Patrol Vessels 및 HMNZS Canterbury Multi Role함정에 탑재한다.
초기에는 해군 3 지원비행대에 배치되지만 현재는 뉴질랜드공군 6 비행대에 배치되었고 조종사및 TACCO 그리고 승무원들은 해군소속이다.

주요 특성
ㅇ 각종 센서와 장비를 통합 통제할 수 있는 ITAS(Intergrated Avionics Tectical System)라는 첨단 전술항공전자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ㅇ 각종 장비가 모듈화되어 있어 옵션별로 용이하게 최신의 장비로 장착/교체할 수 있다.
ㅇ 엔진 출력이 높고, 체공시간이 매우 길다.
ㅇ 전/후방 바퀴에 3개의 고성능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어 함상에 하푼과 같은 별도의 기체고정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기울림 각도 20도 이내까지 기체고정이 가능하다.
모함에 착륙하지 않고 공중 호버링 상태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헬기의 호이스트를 이용 하여 모함으로 부터 주유 파이프를 끌어 올려 가압식(압력/중력을 이용)으로 주유할 수 있기 때문에 기상조건(풍속/풍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든가, 착륙을 위해 모함의 방향을 전환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헬기에 비상부양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비상시 해상착륙 및 이륙이 가능하다.(시동이 꺼진 상태서는 재시동 및 이륙 불가)

□ 탑재장비/성능
ㅇ COCKPIT(조종석)
SH-2G는 세명의 승무원(두명의 조종사와 한명의 무장통제요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ITAS(Intergrated Avionics Tectical System: 통합 전술항공전자 시스템)을 비롯하여 완전 디지털화된 첨단 전자장비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1명의 조종사와 1명의 무장통제요원에 의해서도 운영이 가능하다.
TAS는 헬기에 탑재된 각종 디스플레이, 조종장비, 센서, 무장 등 관련 체계를 통합/통제할 수 있는 첨단 전술항공전자장비로서 승무원으로 하여금 동시에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다
도표 중앙에 위치한 2개의 3×4 인치 크기의 SDU(Smart Display Units)는 조종사와 무장통제요원에게 각종 장비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통합 및 단순화시켜 보여준다.
ㅇ 레이더
Litton사의 LN-66HP 다중모드레이더가 장착되며, 대잠/대수상함 탐지, 정찰 및 Targeting능력을 제공한다. 레이더는 선택적으로 LN-66HP, GEC-마르코니사의 Seaspray, Telephonics사의 APS-143 레이더 (호주해군에 도입된 기종에 장착)중 하나를 장착할 수 있다.

ㅇ 전자전장비
RWR(Radar Warning Receiver)), LWS(Laser Warning System), MWS(Missle Warning System), FLIR(Forward-Looking Infrared), ESM, Chaff/Flare 등 다양한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미해군의 SH-2G는 General Instrument사의 AN/ALR-66(V)1 레이더경보 시스템과 ESM시스템을 장비하였으며, 호주해군에 공급된 SH-2G에는 Litton사의 AN/ALR-93 전자보호수단(Electronic Protection Measures)과 록히드마틴사의 AN/AAR-47 미사일 경보시스템, Sanders사의 AN/ALQ-144 적외선 재머, Tracor사의 AN/ALE-39 플레어/채프 디스펜서 2개를 장착하였다.
ㅇ 대잠수함장비
대잠수함장비는 탐지장비(소나), 음향정보 분석장비(ASN-150), 그리고 공격용 어뢰로 구성된다 SH-2G 헬기는 Litton사의 Tactical Navigation System을 장비하고 있어 자신이 투하한 소너 부이로부터 전달되는 적 잠수함에 대한 음향정보에 대한 자체 처리가 가능할 뿐아니라, 모함이나
다른 대잠용 플랫폼인 초계기, 프리키트함 등에게도 데이터 링크를 통해 자료송신이 가능하다
소나는 패스브 방식의 소노브이나 액티브 방식의 디핑소나 모두를 장착할 수 있으며, 디핑소나는 AN/AQS-18A(수중 457m까지 탐색)나 톰슨-마르코니사의 FLASH 저주파 디핑소나 (수중 750m까지 탐색가능)중 하나를 장착한다. 어뢰는 2발을 무장할 수 있다.
ㅇ 기뢰탐색장비
SH-2G 헬기는 최초로 Kaman사의 Magic Lantern 공중레이저 검색시스템을 장착하였다. 이 Magic Lantern Pod는 레이저와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면으로부터 전투함의 바닥부분 정도 깊이까지의 수중을 검색하여 ASN-150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나타내 줌으로 승무원이 기뢰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분류 해 준다. 이 헬기는 소해능력은 없으므로 승무원은 검색된 기뢰의 위치를 소해함(기)에게 알려주어 소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장착가능 미사일
AGM-65 Maverick : 적 기갑부대/대공부대, 전함, 육상 이동중인 부대, 연료 저장고 등 넓게 분포된 표적에 대한 공격을 통한 근접항공지원, 적군 저지/공격 억지 등의 역할을 수행 하도록 설계된 유도무기로서 유도방식은 모델에 따라 전자광학식 TV 유도(A,B모델), IIR(D,G모델), 레이져유도(E모델), 적외선추적(F모델) 등 다양
전장/2.49M, 직경/0.3M, 중량/208~302㎏, 사정거리/27㎞, 속도/시속4,800㎞
Mk-2 MOD -7 Penguin : 노르웨이 Kongsberg사에서 개발한 관성/적외선 종말유도방식의 Fire-And-Forget 對艦 미사일이다. 운용모드는 Mk-1 기본형, Mk-2고정익 항공기용, Mk-2 MOD -7 헬기용, Mk-2 MOD -7 N 함정용이 있다.
전장/3.02M, 직경/0.2M, 중량/395㎏, 사정거리/34㎞, 속도/마하 0.95
AGM-114K Hellfire : 록크웰 인터내셔널사(현재 보잉사)에 의해 다용도 대장갑, 정밀 대전차/벙커/건축물 공격용으로 개발하여 1985년에 미육군에서 최초 전력화된 세미액티브 레이져 유도방식의 공대지(함) 미사일 이다.
헬파이어 미사일 계열은 아래과 같이 크게 4개 群로 분류된다.
1. 기본모델인 AGM-114A/B/C 및 RBS-17(대함용), 1985년 전력화
2. AGM-114F Interim(반응장갑 공격용), 91년 개발
3. AGM-114K 헬파이어-2(대함용) 94년 개발
4. AGM-114L 롱보우, 96년 롱보우 아파치헬기용으로 개발
전장/7.63M, 직경/0.17M, 중량/47.9㎏, 사정거리/9㎞, 속도/마하 1.3
Sea Skua : 1972년 CL834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영국의 브리티시 에어로 스페이스사에서 제작한 세미엑티브 레이더 유도방식의 공대함 미사일이다. 현재는 함 발사용, 헬기 발사용, 연안 발사용 등이 있으며, 우리 해군도 지난 91년에 영국제 링스 대잠 헬기를 도입하면서 패키지 무장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비록 소형이나 구축함이나 프리킷트함 같은 대형함 등에 3-4발을 명중시킬 경우 격침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전장/2.5M, 직경/0.27M, 중량/145㎏, 사정거리/15㎞, 속도/초음속
ㅇ 기타 장착가능 무장
어 뢰 : MK46/MK50 경어뢰 2기를 탑재할 수 있다.

일반 제원및 성능
승무원: 3 (Pilot, Co-Pilot/Tactical Coordinator (TACCO), Sensor Operator (SENSO))
길이: 52 ft 9 in (15.9 m)
전체폭: 45 ft 0 in (13.4 m)
전고: 15 ft 0 in (4.5 m)
자중: 9,110 lb (4,130 kg)
적재중량: 13,500 lb (6,124 kg)
유상하중: 4,390 lb (1,991 kg)
최대이륙중량: 13,500 lb (6,120 kg)
한계속도: 150 knots (278 km/h (173 mph))
최대속도: 138 knots (256 km/h (159 mph))
순항속도: 120 knots (222 km/h (138 mph))
항속거리: 540 nm (1000 km (869 mi))
상승고도: 10,000 ft (3,000 m)
상승율: 2,070 ft/min (631 m/s)
(글 출처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그리고 염분에 의한 부식과 진동으로 기체 정비 소요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는 기존의 SH-2G를 2015년 중순 SH-2G(I) 도입이 완료되는 시점에 CH-148 Cyclone 대잠헬기를 개수하면서 기술을 습득한 General Dynamics Canada사에 인도하여 임무시스템 통합과 개수를 거쳐 이중 4대를 2016년경 페루 해군에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 10월 9일 도입 계약을 체결한 페루해군 인도분은 향상된 정찰 및 수색구조 능력을 갖추게 된다.
2001년부터 뉴질랜드에서 운용을 시작한 SH-2G를 도입할 페루해군은 현재 30년가까이 운용하며 낡은 Sikorsky SH-3D 2대와 AB 212ASW 2대를 보유한 대잠헬기 전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로써 전세계적으로 뉴질랜드와 폴란드만이 운용하는 SH-2G 헬기를 페루도 운용하면서 3개국에서 끈질기게 생명을 유지하게 된다. 한때 한국해군도 도입이 확정적이라는 헛소리를 퍼뜨린 XXX도 있었다.

SH-2G는 미 해군의 3대 대잠헬기중 하나로서 "kaman사"의 SH-2시리즈 중 최신개량형이며, 미사일 구축함에 탑재하여 대잠, 해양 정찰/구조, 기뢰탐색, 공중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다목적 중형해상전투헬기"로 수출명은 Super Seasprite이다.
SH-2G 대잠헬기는 1962년 미해군 항공대 수송용 헬기로 채택된 UH-2A를 개량한 SH-2D형으로 출발하여 최초 실전배치형인 SH-2F가 1973년 미 해군에 도입된후 보다 발전형으로 개발된 SH-2G는 1993년 미해군에 전력화 됐다.
1992년부터 배치된 미해군에서는 전부 퇴역하였고 Perry급 프리깃함을 공여받은 이집트 10대(1995년),호주 11대(2001년), 폴란드4대(2000년)등이 운용중이며 뉴질랜드는 5대(2000년)를 Anzac급 프리깃함용으로 도입했다. 그런데 호주해군은 SH-2G(A)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성능미달과 운용비용과다로 2008년 전부 퇴역시켜 Kaman사에 재판매했다.

SH-2G는 대잠임무(ASW : Anti - Submarine Warfre)와 대함임무(ASuW : Anti-Surface Warfare), 모함의 진로전방에 대한 공중기뢰탐지(AMCM : Airborne Mine Countermeasures), 정찰, 수색 및 구조를 위한 탐색/구조임무(SAR : Search and Rescue), 병력투입, 비밀작전 등의 임무수행에 적합한 최신의 추진장치, 무기, 센서 등을 갖추어 다용도/수송임무(Utility / Troop Transport)를 수행할 수 있다.
뉴질랜드는 호주와 같은 시기에 5대의 SH-2G를 구입하는데 항전장비는 다른 시스템을 장비했다. 전부 새로 제작된 기체로 GST를 포함하여 338백만달러의 예산을 준비했지만 더 낮은 12백만 뉴질랜드달러에 도입할 수 있었다.2001년 중반에 첫기체가 인도되며 2003년 2월 마지막 기체를 인수했다,.
이 헬기들은 2척의 Anzac급 프리깃과 2척의 Offshore Patrol Vessels 및 HMNZS Canterbury Multi Role함정에 탑재한다.
초기에는 해군 3 지원비행대에 배치되지만 현재는 뉴질랜드공군 6 비행대에 배치되었고 조종사및 TACCO 그리고 승무원들은 해군소속이다.

주요 특성
ㅇ 각종 센서와 장비를 통합 통제할 수 있는 ITAS(Intergrated Avionics Tectical System)라는 첨단 전술항공전자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ㅇ 각종 장비가 모듈화되어 있어 옵션별로 용이하게 최신의 장비로 장착/교체할 수 있다.
ㅇ 엔진 출력이 높고, 체공시간이 매우 길다.
ㅇ 전/후방 바퀴에 3개의 고성능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어 함상에 하푼과 같은 별도의 기체고정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기울림 각도 20도 이내까지 기체고정이 가능하다.
모함에 착륙하지 않고 공중 호버링 상태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헬기의 호이스트를 이용 하여 모함으로 부터 주유 파이프를 끌어 올려 가압식(압력/중력을 이용)으로 주유할 수 있기 때문에 기상조건(풍속/풍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든가, 착륙을 위해 모함의 방향을 전환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헬기에 비상부양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비상시 해상착륙 및 이륙이 가능하다.(시동이 꺼진 상태서는 재시동 및 이륙 불가)

□ 탑재장비/성능
ㅇ COCKPIT(조종석)
SH-2G는 세명의 승무원(두명의 조종사와 한명의 무장통제요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ITAS(Intergrated Avionics Tectical System: 통합 전술항공전자 시스템)을 비롯하여 완전 디지털화된 첨단 전자장비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1명의 조종사와 1명의 무장통제요원에 의해서도 운영이 가능하다.
TAS는 헬기에 탑재된 각종 디스플레이, 조종장비, 센서, 무장 등 관련 체계를 통합/통제할 수 있는 첨단 전술항공전자장비로서 승무원으로 하여금 동시에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다
도표 중앙에 위치한 2개의 3×4 인치 크기의 SDU(Smart Display Units)는 조종사와 무장통제요원에게 각종 장비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통합 및 단순화시켜 보여준다.
ㅇ 레이더
Litton사의 LN-66HP 다중모드레이더가 장착되며, 대잠/대수상함 탐지, 정찰 및 Targeting능력을 제공한다. 레이더는 선택적으로 LN-66HP, GEC-마르코니사의 Seaspray, Telephonics사의 APS-143 레이더 (호주해군에 도입된 기종에 장착)중 하나를 장착할 수 있다.

ㅇ 전자전장비
RWR(Radar Warning Receiver)), LWS(Laser Warning System), MWS(Missle Warning System), FLIR(Forward-Looking Infrared), ESM, Chaff/Flare 등 다양한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미해군의 SH-2G는 General Instrument사의 AN/ALR-66(V)1 레이더경보 시스템과 ESM시스템을 장비하였으며, 호주해군에 공급된 SH-2G에는 Litton사의 AN/ALR-93 전자보호수단(Electronic Protection Measures)과 록히드마틴사의 AN/AAR-47 미사일 경보시스템, Sanders사의 AN/ALQ-144 적외선 재머, Tracor사의 AN/ALE-39 플레어/채프 디스펜서 2개를 장착하였다.
ㅇ 대잠수함장비
대잠수함장비는 탐지장비(소나), 음향정보 분석장비(ASN-150), 그리고 공격용 어뢰로 구성된다 SH-2G 헬기는 Litton사의 Tactical Navigation System을 장비하고 있어 자신이 투하한 소너 부이로부터 전달되는 적 잠수함에 대한 음향정보에 대한 자체 처리가 가능할 뿐아니라, 모함이나
다른 대잠용 플랫폼인 초계기, 프리키트함 등에게도 데이터 링크를 통해 자료송신이 가능하다
소나는 패스브 방식의 소노브이나 액티브 방식의 디핑소나 모두를 장착할 수 있으며, 디핑소나는 AN/AQS-18A(수중 457m까지 탐색)나 톰슨-마르코니사의 FLASH 저주파 디핑소나 (수중 750m까지 탐색가능)중 하나를 장착한다. 어뢰는 2발을 무장할 수 있다.
ㅇ 기뢰탐색장비
SH-2G 헬기는 최초로 Kaman사의 Magic Lantern 공중레이저 검색시스템을 장착하였다. 이 Magic Lantern Pod는 레이저와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면으로부터 전투함의 바닥부분 정도 깊이까지의 수중을 검색하여 ASN-150 디스플레이에 영상으로 나타내 줌으로 승무원이 기뢰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분류 해 준다. 이 헬기는 소해능력은 없으므로 승무원은 검색된 기뢰의 위치를 소해함(기)에게 알려주어 소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장착가능 미사일
AGM-65 Maverick : 적 기갑부대/대공부대, 전함, 육상 이동중인 부대, 연료 저장고 등 넓게 분포된 표적에 대한 공격을 통한 근접항공지원, 적군 저지/공격 억지 등의 역할을 수행 하도록 설계된 유도무기로서 유도방식은 모델에 따라 전자광학식 TV 유도(A,B모델), IIR(D,G모델), 레이져유도(E모델), 적외선추적(F모델) 등 다양
전장/2.49M, 직경/0.3M, 중량/208~302㎏, 사정거리/27㎞, 속도/시속4,800㎞
Mk-2 MOD -7 Penguin : 노르웨이 Kongsberg사에서 개발한 관성/적외선 종말유도방식의 Fire-And-Forget 對艦 미사일이다. 운용모드는 Mk-1 기본형, Mk-2고정익 항공기용, Mk-2 MOD -7 헬기용, Mk-2 MOD -7 N 함정용이 있다.
전장/3.02M, 직경/0.2M, 중량/395㎏, 사정거리/34㎞, 속도/마하 0.95
AGM-114K Hellfire : 록크웰 인터내셔널사(현재 보잉사)에 의해 다용도 대장갑, 정밀 대전차/벙커/건축물 공격용으로 개발하여 1985년에 미육군에서 최초 전력화된 세미액티브 레이져 유도방식의 공대지(함) 미사일 이다.
헬파이어 미사일 계열은 아래과 같이 크게 4개 群로 분류된다.
1. 기본모델인 AGM-114A/B/C 및 RBS-17(대함용), 1985년 전력화
2. AGM-114F Interim(반응장갑 공격용), 91년 개발
3. AGM-114K 헬파이어-2(대함용) 94년 개발
4. AGM-114L 롱보우, 96년 롱보우 아파치헬기용으로 개발
전장/7.63M, 직경/0.17M, 중량/47.9㎏, 사정거리/9㎞, 속도/마하 1.3
Sea Skua : 1972년 CL834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영국의 브리티시 에어로 스페이스사에서 제작한 세미엑티브 레이더 유도방식의 공대함 미사일이다. 현재는 함 발사용, 헬기 발사용, 연안 발사용 등이 있으며, 우리 해군도 지난 91년에 영국제 링스 대잠 헬기를 도입하면서 패키지 무장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비록 소형이나 구축함이나 프리킷트함 같은 대형함 등에 3-4발을 명중시킬 경우 격침시킬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전장/2.5M, 직경/0.27M, 중량/145㎏, 사정거리/15㎞, 속도/초음속
ㅇ 기타 장착가능 무장
어 뢰 : MK46/MK50 경어뢰 2기를 탑재할 수 있다.

일반 제원및 성능
승무원: 3 (Pilot, Co-Pilot/Tactical Coordinator (TACCO), Sensor Operator (SENSO))
길이: 52 ft 9 in (15.9 m)
전체폭: 45 ft 0 in (13.4 m)
전고: 15 ft 0 in (4.5 m)
자중: 9,110 lb (4,130 kg)
적재중량: 13,500 lb (6,124 kg)
유상하중: 4,390 lb (1,991 kg)
최대이륙중량: 13,500 lb (6,120 kg)
한계속도: 150 knots (278 km/h (173 mph))
최대속도: 138 knots (256 km/h (159 mph))
순항속도: 120 knots (222 km/h (138 mph))
항속거리: 540 nm (1000 km (869 mi))
상승고도: 10,000 ft (3,000 m)
상승율: 2,070 ft/min (631 m/s)
(글 출처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