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토로그


"명품"이라 칭하는 또하나의 국산형 무기 수리온 헬기 전력화 수송/소해/지원 헬기

'명품 국산헬기' 올 하반기부터 야전부대에 실전배치

한국형 기동헬기인 수리온(KUH-1)이 2022년까지 200여대가 전력화돼 현재 운용 중인 노후헬기 500MD와 UH-1을 대체하게 된다.
육군은 올해 20대를 시작으로 매년 20여대의 수리온을 야전부대에 배치, 2022년까지 200여대의 실전배치를 마칠 예정이다.

22일 전력화 행사를 위해 식장으로 택싱중인 5대의 수리온 헬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리온은 노후 헬기인 UH-1H와 500MD를 대체하려고 개발을 시작한 국산형(설계 원천이 Eurocopter Super Puma 헬기이므로 국산은 아니라고 본다) 기동헬기다.

대체 헬기에 맞춘 ROC를 가지고 억지스런 축소를 진행한 덕분에 수리온 원형인 수퍼푸마 헬기가 19인승 인데 비해 사이즈도 살짝 줄여 인원용 좌석은 겨우 8개, 승무원 합해 10인승 헬기로 탈바쑴하였다. 무려 반이나 탑승인원이 줄어든 것이다. (이는 UH-1 대체라는 명분용으로 줄인 것으로 보인다, 스펙상에는 탑승병력이 최대 16+2명에 달한다)
그동안 좁디 좁은 4인승 500MD를 타던 육군의 높은 나리들께서 널찍한 10인승 헬기를 타시고 용무를 보러 다니시게되었으니 이 어찌 명품이 아니겠는가? 한마디로 티코에서 제네시스로 업그레이드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는데~~~


3열로 좌석을 배치하기도 애매한 동체 폭은 수출 시장에서도 모호한 위치에 있는 헬기로 보인다. 안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인든 별수 있을까 라는 말처럼 헐값이라면 몰라도 사려는 국가는 있을까 싶다,
더구나 30년전 외관은 또 어떻게 하고~~ 에구 안습이로구나

이처럼 절름발이 헬기 수리온의 개발에는 2006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약 6년간 1조3천억원이라는 거금이 투입됐다. 개발비용과 양산비용 등을 포함한 총 사업비는 8조원에 달한다,


500MD급 전후 헬기도 수두륵 하고 UH-1 대체에 적합한 헬기도 여러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 돈을 투입하며 얻은 것이라고는 이제 약간의 진동만이 남은 채로 도입이 수락된 구시대적 유물의 잔재인 수리온 헬기.
2009년 7월 시제 1호기가 출고되었고 첫비행은 2010년 3월 성공하였다. 그야말로 번개불에 콩구워 먹는 놀라운 개발 속도라 아니할 수 없다, 작전요구성능(ROC) 충족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시제기 4대로 2010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약 2천회(2천700시간)의 비행시험을 했다.

로터 진동 문제로 잠시 주춤했으나 월미도 은하 철도도 만들어 내는 대한민국이 어디 가겠냐는 일념으로 밀어붙이기에 성공, 2012년 6월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은 수리온은 같은 해 말부터 전력화가 시작돼 현재까지 10대가 육군항공학교에 배치됐다
2013년 추가 생산분 10대도 하반기부터 야전부대에 배치되어 20여대가 전력화될 것이다.


수리온은 미국산 기동헬기인 UH-60급 이상의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언론에 보도되었다.
몇가지 비교해 보자면 UH-60L 엔진은 General Electric T700-GE-701C 터보샤프트, 출력 1,890 hp, 자중 4,819kg, 최대이륙중량 10,660kg, 순항속도 278km/h, 행동반경 592km와 비교 수리온은 각각 T700-GE-701C 파생형 엔진으로 최대 출력 1,855 shp 자중, 4,973kg, 최대이륙 중량 8,709kg, 순항속도 259km/h, 행동반경 480km이다. (자료 출처 위키백과)
한마디로 같은 엔진에 150kg이나 더 무거운 자중의 수리온은 적재량이 2톤 가까이 훨씬 적은 기형적 형태의 헬기라는 의미이다.
이를 어찌 동급이라 할 수 있는지 참으로 애매~~~하다.


장착된 신 장비들은 3차원 전자지도, 통합헬멧 시현장치, 4축 자동비행조종장치 등으로 야간 및 악천후에도 전술기동이 가능하다.
예전에 수리온 개발당시 이런 부분이 UH-60보다 우수한 점이라고 했는데, 머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면 몰라도 그냥 장착만 하면 되는 장비들 가지고 월등하다는 주장 역시 참으로 애매~~~하다.

자동비행조종시스템을 활용하면 이륙 후 전술목표까지 자동비행이 가능하고 고난도 정밀 화물공수 등의 임무수행도 할 수 있다.
적의 방공무기 위협에 대응하는 다양한 탐지장비와 대응체계를 구축, 전장에서의 생존성도 높였다.


육군은 5월 22일 오후 충남 논산시 소재 육군항공학교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수리온 전력화 기념행사를 가졌다.
수리온 헬기를 활용한 공중강습작전과 특전사 고공강하팀의 축하 고공강하, 500MD, UH-1, UH-60, AH-1S, CH-47 등 육군항공의 전 기종(28대)이 참가하는 축하비행 등도 이어졌다.

어째든 또 하나의 명품 무기가 한국에서 탄생하였다.
K-9, K-2, K-21등 지상장비와 KT-1, T-50등에 이은 한국만의 한국을 위한 한국의 명품으로~~~~
조만간 개거품 물면서 씹어대는 명품이 등장했다는 뜻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가 있든 미래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든, 기왕 나온거 앞으로 잘 되길 바랄 수 밖에 없다
어차피 국민 세금이 잔뜩 들어간 수리온인데 더이상 손실은 없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전이라도 뽑을 심사로 대잠헬기든 공격헬기가 되었던지간에  헬기란 헬기는 몽땅 수리온으로 도배하려는 시도는 없어야 할 것이다. 제 갈길이 있고 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음에도 욕심이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보다 못하다는 격언을 새기면 좋겠다.


덧글

  • 붉은악마 2013/05/23 21:21 # 삭제

    비겐님이 말하신 수리온의 단점은 비겐님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아는 바지만 어떤 분야든 첫술에 배부를 수 있겠습니까. 미래의 발전을 위해 부족한 점은 비판하되 국산 항공산업은 이제 걸음마 단계인 시작상태이니 이정도로 시작하여 앞으로 맞이할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가며 차츰 더 나은 것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지요. 소위 선진국이라 하는 나라들도 다 처음부터 좋은 것만 만들고 성공만 해온건 아니지 않습니까. 예나 지금이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한발씩 더 발전해 나가는 거죠.
  • 은공 2013/05/25 23:53 # 삭제

    저도 좋게 보겠습니다. 사고만 나지말고. 또 사고 나서도 괜히 덮지 말고. 그렇지 않으면 발전이 없습니다.
  • 가랑비 2013/06/02 20:45 # 삭제

    그돈을 KFX에 투입하면 되엇을걸 말입니다.
  • 나그네 2013/06/21 10:19 # 삭제

    이렇게 부정적인 사고로 무엇인들 시작은 하실 수 있겠습니까?
    시작을 못하니 맨날 남 뒷 꽁무니만 바라보며 평이나 하는 그러한 신세를 벗어날 수 없겠지요.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새 선두그룹에 끼어 있을 수 있는 겁니다.
    시작을 못하면 후미그룹을 벗어 날 수 없지요.
    적어도 우리는 이미 후미그룹은 벗어 났습니다.
    중간그룹까지는 왔는데 선두그룹이 아니라고 누워서 비판만 하고 있으면 언제 뛰어서 선두그룹까지 갈 수 있을까요.
    도전적이질 못하면 이룰 수 있는게 없습니다.
    완벽하지 않으면 시도도 하지 않는다?
    뭘 할 수 있겠습니까?
    영화 쿨러닝 추천해 드립니다.
  • Viggen 2013/06/23 13:24 #

    바보 아님?
    부정적 시각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려면 수리온이 어떻게 탄생한 헬기인지부터 파악하고 글 쓰던가?
    국산헬기가 아니라 수천억 처발라 50년대 개발한 헬기 설계도 빌려 축소형 만들어 놓고 국산이라 속이는 놈들이 나쁘다고 하는 것인데...

    여하튼 맹목적 애국심에 빌붙어 최대한 이익 극대화하려는 못된 놈들 농간이 횡행하는 대한민국 속내는 멋도 모르고 세금만 퍼질러 대는 무지 몽매한 민생들이 이렇게 충성하고 있기 때문이지...

    시작도 못하느니 도전이니 노력이니 말찬치 속에 주머니속 동전까지 끌어다 받쳐야 하는 줄 모르는 멍청이들
    같은 돈 처발라 같은 업체로부터 기술 전수를 받아도 중국은 CHM이란 멋진 놈이 나와 세계 시장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겠지만, KHM은 국적 불명의 구태적 헬기라는 사실은 알기나 하는지......
  • 2013/07/05 23:21 # 삭제

    할 말 없음?
  • 한숨... 2013/07/06 19:11 # 삭제

    맨처음 벌써부터 완벽한 헬기가 안나왔다고 실망하시는 것 같습니다 --
  • 봄바람9 2013/08/27 09:23 # 삭제

    이렇게라도 도면 입수해서 우리손으로 만든다는게 어디 입니까?
    최신기종이면 기술이전 해주겠습니까?
    후발주자가 이래서 서럽다는 겁니다.
    기술 가진 넘들은 언제가 몇십년 뒤진 후진 기술 넘겨 주면서 온갖 생색 다네고, 목에 힘주고, 땡깡부리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은 사기 당했네, 세금 도둑이네, 얼마나 쳐먹었네, 기타 등등 난리가 납니다.

    문제는 우리손으로 30년 뒤진 기술이지만 이제 헬기 만들어 봤다는 겁니다.
    이제 한번 만들어 봤으니, 디자인 개선하고, 엔진 튜닝좀 하고, 화기 관제시스템 upgrade해서
    진짜 한국형 헬기 함 만들어 봐야죠.

    비난은 이번에 바가시 쓰고 사온 기술을 기반으로 우리걸 얼마나 멋있게 만드는지 보고 그때
    자근 자근 씹어 주는것이 어떨지......

    우리나라가 응용력은 기가 막히 잖아요.(?????)
  • 빠빠룽 2013/07/10 13:11 # 삭제

    수리온... 저도 맘에 안들어요 ㅜㅜ
  • 214 2013/07/16 23:44 # 삭제

    214급 도입때랑 같은 뻘짓, 기존사 제끼고 무에서 다시했죠,. 블랙호크란 걸작기와 그개량이라는 안이 있는데도 대한항공 제끼고 카이에서 제로 시작이라는... 그냥 일로코이보다는 좋을까 한다는..
  • 봉건일본 2013/11/05 20:25 # 삭제

    비겐님 말씀대로 수리온이 이게 끝이었으면 합니다...공격헬기 특수헬기 개발은 무슨한이 있더라도 러시아 핼기제작기술을 배워야 할듯 ,,처음엔 해당헬기를 몇십대 사오더라도...왜 이리 수리온 지지자들이 많은지 한심합니다...바로 지금 북한에 대해 압도적인 재래무기 우위를 점해야만 하는 우리의 위치를 망각하는 국내 개발론자들의 안보의식이 한심하게 보입니다,..한국이 북한에 비해 얼마나 재래 전력을 우위로 가졌는지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생각못하는 한심한 사람들 ...그리 우위도 아닌 간당간당한 차이인데...
    비겐님 의견 전폭 지지합니다..
  • 나그네 2013/11/14 15:23 # 삭제

    어느 미친나라에서 헬기핵심 기술을 헬기 몇대 구입했다고 주겠습니까?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 절대안줌.
    이런상황에서 그나마 유로콥터에서 조금이나마 기술이전 받아서라도 이렇게라도 힘들게 기본헬기라도 만들어 시작하는게 얼마나 다행인가요?

    지금은 한국을 대표하는 반도체나 선박산업이 이런식으로 시작해서 세계도 놀랄 단기간에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거나 다투고 있는 사실을 상기했으면 합니다. 아마도 필자님의 부정적인 사고로는 아무것도 우리손으로 세계 일류상품을 만들지 못할듯싶네요.

    전투기, 헬기, 로켓, 우주산업은 절대 처음시작부터 최고의 제품을 만들수는 없는 분야임을 잘 아실텐데요. 그렇다고 맨날 다른 나라제품을 비싼가격 치뤄가며 때론 돈주고 구입하면서도 부당한 대우 받으며..

    기술종속 이건 정말 아닙니다. 우리손으로 뭘 만들든지 만들어야지요. 나로호 프로젝트 잘 아시잖아요? 막대한 우리돈으로 남의 나라로켓 실험 및 테스트 해주고 남는건...별로...항우연측에선 운영능력 전반의 노하우를 얻었다는데...글쎄요.

    물론 필자님과 같은 의견이 있겠지만 저는 이번 프로젝트는 잘했다 더 잘해라 응원해주고 싶네여^^
  • 봉건일본 2013/11/15 18:58 # 삭제

    러시아와 군사무기 제작과 기술협력은 수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많은 첨단 군사기술에도 불구하고 항상 뭔가 문제가 있어 서방 최신무기에 발리는 러시아 신예무기들 ,,,한국의 일부 발전된 it기술과 제작/제조 기술 몇 분야는 러시아 군사무기기술이 부족한 몇가지 구멍을 일부라도 틀림없이 메워 줄겁니다...그러면서 한국측이 더 많은 약간의 돈 부담 ,,덜 먹는 이익 구조로서 반드시 러시아가 필요한 분야를 많이가지고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나로호 계획처럼 이상한 협상은 안되고요...물물교환식 기술/무기 /돈 교환 충분히 가능성 있습니다..러시아도 한국과 군사무기제작 협력으로 미래에 더 좋은 러시아 군사무기 제작 /생산이 가능해 지는 이익도 있고요-그렇게 되면 러시아도 자기 무기수출에 좋겠죠...한국은 당장 다대한 이익추구보다는 질 좋은 신예 무기를 대량 생산/도입할수 있어 좋고요...더 이상 북한이란 꼴통 때문에 북한/중/러/일/미에 끌려 다니는 세월이 지속되지 않았으면 합니다..당장 북한에 의한 서울 불바다란 뉴스거리 안 봤으면 합니다 ...최 첨단 무기 도입 아니면 장장 시간에 걸친 국내 개발 은, 어떤 의미에선 일본 /중국/미국에 한국이란 안주거리제공하는것과 똑 같습니다..최신예 필요 없고 북한 /아니 중국무기 신형정도 아니면 중국보다 한박자 반 빠른/높은 수준성능의 무기 다량 확보-러시아 신예무기 수준-최신예가 아닌-가 한반도 안정 즉 대한민국이 앞으로 15년간 중요한 요구사항이 될거이고 그중 한국도 군사무기 최 첨단 기술 개발 그 뒤에 본격적으로 경쟁에 뛰어 들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일단 비교적 적은 다대한 군사투자로 북한을 90%압도하는 전력을 갖추는게 급선무입니다...일단 중국 /일본은 라이벌 관계에서 제껴 높읍시다..앞으로 매년은 불바다타령 듣고 싶지 않습니다
  • El Alamein 2013/11/18 13:41 #

    정책 결정권자도 아닌 우리가 수리온이 성능이 부족하네, 기형적 헬기라 평가해봤자 무슨 의미있는 변화가 있겠습니까.
    기왕 결정된 것 사고 안나고 애꿏게 죽는 군인들 없도록 기도해 주는게 낫겠죠.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노릇이고 이제 첫 시작 끊었으니 앞으로 잘 해나가길 바랍시다.
  • Pauline 2013/11/19 11:46 # 삭제

    그넘의 민수용 타령하다 나온 어중간한 체급의 물건
    시작하는 마당에 민간 시장까지 노린다라 ..

    얼마 팔릴지도 모르고
    잘나가는 메이저 제작사 제품이 즐비한 민수용 시장 노린다고
    이거저거 타협할 바엔 차라리 군용으로 확실하게 만들던가
    아님 오래 쓸 생각하고 원판 라이센스 생산을 하던지..
    멀쩡한 원판 다운 사이징해서
    완전군장 몇 명이 타네 마네
    연료 탑재량이 얼마네 하는데..

    수리온 민수용 얼마나 팔리는지 두고 보면 답 나오겠죠
    LAH도 요즘 민수용 타령하던데

    민수용 노린 만큼 판매량이 말해주겠죠

    비겐님이 예로 드신 중국의 CHM 우리랑 비슷한 시기에 시작했는데
    어차피 둘 다 마이너 제작사 제품인 거
    제가 고객이라도 CHM 살 거 같아요.

    아니 그전에 민수용 헬기 살 정도면 메이저 제작사 제품 중에 고르겠죠..

    구식이라도 기술줘서 만든 게 어디냐 하시는 분들 ...
    이제 시작이니까 괜찮다는 분들
    긍정적인 마인드 참 부럽군요

    기술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 만들 수 있는 거 아니냐 하시는 분들
    앞으로 우리나라가 항공산업에 얼마나 투자할지 모르지만
    쓰이지 않는 기술은 발전이 없는 겁니다..
    그렇게 기술격차는 더 벌어지는 거고..
    시장경쟁력은 사라지고..

    돈! 들인 만큼 좋은 물건 나오는 거죠
    당장 KFX도 돈 없어서 하네! 마네 하는 판국인데
    항공사업에 돈 쏟아 부어서 키워도 잘 클까 말까 하는데
    중국 보세요 돈 들이 붓고 없는 기술 훔쳐오기라도 하지
    우린 뭐하나요 타당성 조사 만 몇 번인지..


    어차피 시작한 거
    후발주자인 우리가 앞으로 얼마나 많은 돈을 들여
    시장을 주름잡는 벨/아구스타/유로콥터/시코르스키...메이저 제작사들과
    기술격차를 줄여가는지 한번 지켜보시면 되겠네요.

    저 역시 ..
    기술 준 유로콥터 뒤통수 치는거 한번 보고 싶어요
    가능 할지 저들은 가만히 서서 지켜보고 있을까요?

    항공산업 키울려면 확실하게 키워야지
    이도 저도 아닌 거면 쓸데없는 돈 만 축내는 겁니다..
    업체들 배만 불려주는거죠..
  • 브로커인가. 2015/05/27 18:09 # 삭제

    밀매 흉내내는 무기 중계 브로커인가보네..
    세금 그렇게 쳐먹는게 아까운데 어떻게 명품만드냐..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